본문 바로가기
728x90

IT41

[CMD] telnet telnet * 해당 Port가 접속 가능한지 확인하는 방법* telnet [IP or 도메인] [Port 번호]ex) telnet naver.com 80 2025. 4. 23.
[MSSQL] 문자 띄어쓰기 해결법 (SSMS) 얼마 전 이직 후 이 PC에서 SSMS만 사용하면 문자 입력방식이 전자로 바뀌는 문제가 생겼다.(엄청난 스트레스..)저처럼 계속 반복해서 발생하는게 아니라면 [Ctrl + =] 을 동시에 누르면 해결이 되지만 저는 SSMS만 사용하면 계속 바뀌는 문제였어서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였습니다. 해결방법을 찾아보던 중 글을 하나 발견해서 소개해드릴까합니다.(아직 저도 테스트중입니다. 2시간째 안바뀌고 있긴합니다만..좀더 써봐야죠) 윈도우11 기준 설정 - 시간 및 언어 - 언어 및 지역 - 옵션 이전 버전의 Microsoft IME를 활성화 2025. 4. 22.
[MSSQL] SP_LOCK (LOCK 조회) Microsoft SQL Sever Management Studio를 사용하다보면 쿼리문의 실행시간이 비정상적으로 길어지거나 요청시간이 초과하여 강제 종료되기도 합니다. 그런 상황이 발생했을때 확인해 볼 수 있는 방법들 중 SP_LOCK을 소개합니다. 1. EXEC SP_LOCK - 여기서 필요한 항목은 spid, Mode의 값이 무엇인지 확인합니다. Mode의 값이 X로 되어있다면 바로 그 부분이 Lock이 걸린 부분입니다. 2. EXEC SP_WHO [SPID], EXEC SP_WHO2 [SPID]- LOCK이 걸린 부분의 사용자가 누구인지 확인합니다.(다른사람이 잡아둔 LOCK이 있다면 함부로 KILL하지 말자..) 3. DBCC INPUTBUFFER([SPID])- 스크립트를 조회해본다. 4.. 2025. 4. 22.
[DevExpress]XtraReport DataBase 연결 Report에 DataBase연결을 위해서는 DataSet이 필요하다.데이터 집합을 추가하면 빈 화면이 나온다. 빈 화면에서 우클릭하여 추가할 항목을 선택한다.(필자는 주로 DataTable을 추가하여 사용한다) 선택후 DataTable에 들어갈 항목들을 넣어준다. DataSet을 만들었다면 작성중이던 XtraReport로 돌아가 방금 만들었던것을 연결해준다.좌측 상단에있는 삼각형(?) 버튼을 눌러 DataMember 설정을 눌러 DataSet에 있는 DataTable을 선택한다.XRTable에 DB연결할 셀을 선택하여 연결할 DataSet을 넣어준다.이후에는 프로그램 개발 방식에 따라 DB서버 연결 및 프로시저를 호출해서 사용하면 된다. 2025. 4. 22.
[MSSQL] DB 스케줄 자동 백업 관리 1. 개체 탐색기에서 관리 - 유지 관리 계획에서 우클릭하여 유지 관리 계획 마법사를 클릭합니다. 2. 등록할 스케줄의 이름, 설명, 일정을 설정합니다. 2-1 일정등록-빈도는 상황에따라 일별, 주별 등을 선택합니다.-위에서 선택한 빈도에 하루에 몇번 백업 작업을 실행할 것인지 선택합니다.-등록할 백업 스케줄의 시작일짜와 종료일자를 선택합니다. 3. 데이터베이스 백업(전체)와 유지 관리 정리 태스크를 체크합니다.-유지 관리 정리 태스크는 이후 백업받은 데이터가 많이 쌓이지 않게 삭제해주기 위해 추가합니다. 4. 백업할 데이터 베이스를 선택해줍니다. 5. 백업할 위치와 삭제 주기를 선택한 후 다음버튼을 눌러 종료합니다. Tip.1. 백업 시간은 사용자가 해당 DB를 사용하지 않는 시간대에 등록하는 것이 .. 2025. 4. 22.
[MSSQL]날짜 형 변환 / CONVERT(자료형,DATETIME,형식) 번호쿼리 결과코드 0 CONVERT(CHAR(19), DATETIME, 0) 01 02 2000 1:14PM MM DD YYYY H:MM 1 CONVERT(CHAR(10), DATETIME, 1) 01/02/2000 MM/DD/YYYY 2 CONVERT(CHAR(8), DATETIME, 2) 00.01.02 YY.MM.DD 3 CONVERT(CHAR(8), DATETIME, 3) 02/01/00 DD/MM/YY 4 CONVERT(CHAR(8), DATETIME, 4) 02.01.00 DD.MM.YY 5 CONVERT(CHAR(8), DATETIME, 5) 02-01-00 DD-MM-YY 6 CONVERT(CHAR(8), DATETIME, 6) 02 01 00 DD MM YY 7 CONVERT(CHAR(9.. 2025. 4. 22.
728x90